1. <판다> 소개
- 판다는 영어로 Panda이다.
- 판다는 중국 쓰촨 성 일대 주로 서식하는 포유류 동물이다.
- 판다의 크기는 120-180cm 정도이다.
- 판다는 몸 무게는 70-120kg 정도 나간다.
- 판다는 과거에는 팬더라고 불렀지만 외래어 표기법을 따라 판다로 정식 표기로 변경되었다.
- 판다는 곰과동물로써 초식동물이다.
- 판다는 주식으로 대나무를 먹는다.
- 판다는 유대류처럼 대부분 미숙아로 태어나지만 성장 속도는 매우 급격하게 빠르다.
- 판다는 단독생활을 하며 새끼를 키울때만 새끼와 함께 다니며 살 뿐 혼자서 살아간다.
- 판다는 동글동글한 생김새와 뒤뚱뒤뚱 걸어 움직이는 모습이 귀여우며 성격이 온순한 초식동물이다.
2. 판다의 특징
판다는 중국의 쓰촨성, 산시 성, 허난성에 걸쳐있는 친링산맥에 서식하며 중국에서 엄격하게 판다를 관리 한다.
판다의 주식은 대나무이며 간식으로 곡물이나 과일 등을 먹으며 곰과동물이지만 판다는 진화를 거치며 고기의 맛을 느끼지 못하는 돌연변이 유전자가 생겨 고기의 맛을 느끼지 못하다 보니 스스로 소화를 시키지 못하는 죽순만 먹는다.
원래 판다는 초식동물이 아니기에 소화기관 구조는 육식동물 기관을 갖고 있기에 대나무를 먹어도 소화를 시키는 양은 17%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보통 초식동물은 70% 이상 소화를 시키는 편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그렇기 때문에 판다는 대나무를 매우 많이 섭취함으로 양으로 채운다.
성체 판다의 경우 매일 30kg 정도의 대나무를 섭취하는데 하루에 100만 원 치 대나무 식사를 하는 셈이다.
판다의 배설물은 소화율이 적다 보니 무취에다 열량이 풍부하다.
판다의 수명은 야생에서는 20여 년 정도를 살며 동물원에서 관리를 하며 사는 판다는 30여 년을 산다.
판다는 6살쯤 되면 성숙해져 생식을 시작한다 암수 판다는 번식기에만 교미를 하며 교미 후엔 서로 헤어져 암컷 혼자 새끼를 출산하며 기른다.
판다의 발정기는 1-3일 정도이며 야생에서는 길면 4일 정도 교미기간을 갖는다.
판다의 임신기간은 약 95-160 사이이며 한 마리씩 출산한다.
판다는 엄청난 정력가인데 사람보다 100배에 달하는 정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에 40번 정도 교미를 할 수 있다.
판다는 자기 영역에 다른 개체가 침범하는 거에 매우 예민한 편인데 영역 표시는 오줌을 뿌리거나 항문으로 나무를 긁어 영역표시를 한다.
판다의 새끼는 사람을 잘 따르는데 식성이 초식이다 보니 사람을 먹이로 보지 않고 사육되는 판다의 경우 사람을 보고 자라기에 경계심이 없다.
판다는 중국에서 국가 1급 보호동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동물이다.
우리가 동물원에서 보는 판다들은 모두 중국에서 임대받은 판다들인데 판다를 키우는데도 돈이 많이 들지만 판다 보호기금이라는 임대료도 매우 비싸다.
한국에서도 판다를 볼 수 있지만 1994년도 판다 2마리가 들여왔을 때 IMF 외환위기로 인하여 비용 문제로 반환했었다 그리고 한국 경제가 나아지면서 2016년에 다시 판다를 들여와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다.
판다를 중국에 임대료를 내고 들여와 자국에서 기르며 새끼를 출산하게 되면 그 새끼 또한도 타국에서 태어났지만 중국 소유로 들어가기 때문에 새끼의 임대료도 함께 들기에 대부분 새끼를 출산하면 임대료 때문에 새끼는 중국으로 귀환시키는 편이다.
중국 정부에서는 판다를 엄격하게 관리하기에 새끼를 출산했을 때 60만 달러를 내지 않으면 즉시 돌려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판다 외교라 불릴 정도로 외교영역에서 잘 사용한다.
유지비가 엄청난 판다임에도 불구하고도 판다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기 때문에 재정형편이 가능한 동물원들은 판다 임대를 추진하는 편이다.
3. 판다의 문화적 요소
판다는 귀여운 외모와 행동들 덕분에 모티브로 삼아 캐릭터로 많이 만들어졌다.
강철의 연금술사의 샤오메이와 나루토의 가아라, 디지몬 시리즈의 판다 몬, 워프 래프트 시리즈의 판다렌, 원피스의 스팬담, 주술 회전의 판다, 쿵후 판다의 포, 판다 마을 판다들이 있으며 그 밖에도 많은 캐릭터들이 판다를 모티브로 만들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