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극곰> 소개
- 바다 및 주위 육지를 아우르는 육식성 곰이다
- 흰 털 때문에 백곰이라고도 부른다
- 육식성이기에 사람도 먹는다
- 지상 최고의 포식자란 별칭을 갖고 있다
- 성체 수컷의 몸무게는 350-700kg이다
- 성체 암컷의 몸무게는 수컷의 절반 정도인 150-500kg이다
- 불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북극곰 대부분은 땅에서 태어나지만 태어난 뒤에는 대부분 바다에서 보낸다
- 수명은 20~30년을 살며 암컷이 약간 더 오래 산다
- 암컷은 4살 정도부터 4-5월 짝짓기를 하며 11-2월 사이에 1-2마리 새끼를 낳는다 임신 기간은 195-265일이다
2. 북극곰의 특징
영리한 사냥꾼으로 불리며 영하 40도 추위와 시속 120km의 강풍도 견뎌내는 뛰어난 생존 능력을 갖고 있다.
주로 바다표범을 사냥하는데 이 방법이 매우 영리하다.
바다표범이 숨을 쉬기 위해 육지로 올라오는데 북극곰은 일부러 숨구멍을 한 곳만 남기고 모두 막음으로써 바다표범이 하나밖에 없는 숨구멍으로 숨을 쉬러 나올 때에 북극곰이 사냥을 나서는 것이다.
특징 중 하나가 몸 전체가 하얀 털로 덮여 있고 코와 피부는 검은색이다.
빛이 반사되어 하얗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투명한 색 털이다.
북극곰의 털은 몸을 은폐시키고, 추운 기온을 버틸 수 있게 해 준다.
뛰어난 생존 적응력을 지니고 있어서 지구에서 가장 추운 환경에서도 생존해 올 수 있었던 것입니다.
유전적으로 형성된 외투를 겹겹이 껴입고 있어 몸속 깊은 곳에 온기를 고스란히 간직하며 영하를 밑도는 북극의 날씨를 이겨냅니다.열 효과를 지닌 지방층이 10cm나 되어 지방층은 두꺼운 피부로 덮여있고 흰색 털 안 피부는 검은색이라 햇빛을 흡수하며 열을 생성합니다.
가장 바깥쪽에는 완벽한 방수 기능을 갖춘 12cm 길이의 뻣뻣한 겉 털들이 바다에서도 체온을 지키며 지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있습니다.북극곰은 전속력으로 달릴 때도 완벽하게 얼음을 다룹니다 거대한 발에 있는 작고 단단한 돌기 수백 개가 스노모빌 바퀴처럼 얼음을 단단히 움켜쥐고 추진합니다.
덕분에 미끄러지지 않는 능력은 대단하며 무게가 200kg 이상이지만 달리기 속도가 물범이 헤엄치는 속도보다 빠릅니다.
하지만 물속에서는 북극곰은 시속 10km로 헤엄치기에 물속에서는 물범의 헤엄치는 속도를 쫓지 못해 따라잡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북극곰은 사람보다 10dB이나 작은 소리를 들을 수가 있어서 얼음을 타고 울리는 미세한 소리를 이용해 사냥합니다.또한 북극곰의 힘은 자그마치 1톤에 가까운 힘을 갖고있어 반달무늬 물범을 사냥할 때에 반달무늬 물범이 지내는 굴을 힘으로써 얼음 굴의 지붕을 산산조각 내어 북극곰의 5cm의 송곳니로 물범의 머리 양 옆을 물어 순식간에 두개골을 부수는 지상 최고의 포식자입니다.
북극곰과 사람이 마주치게 되면 사람에게 위협적인 존재이다.
그 이유가 북극곰은 사람을 본 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람을 먹이로 간주한다.
우리가 북극곰을 갖는 인식은 코카콜라 광고에 나온 친근한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사실은 가장 포악하고 공격성이 높은 계통에 속해있다.재밌는 사실은 북극여우는 사냥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사냥한 먹이를 나누어주는 신기한 관계이다.그 이유가 북극에 함께 생존하며 오랜 기간 지내다 보니 북극여우가 북극곰에게 위협을 주는 존재가 아님을 인식해서이다.하지만 이 북극곰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있다.지구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층이 녹아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어 물범을 사냥하는 장소와 생활터전이 사라짐으로 앞으로 보지 못할 수도 있다.
3. 북극곰 계통
북극곰은 베링 해, 시베리아 북부, 그린란드, 알래스카, 캐나다에 서식 중이고, 북극곰의 계통은 크게는 공과에 속하며 세부적으로 곰아과에 분류되어있다.
특징에 따라 분류가 되는데 곰과 안에서 판다아과에 속한 대왕판다도 있으며, 북극곰이 속한 곰아과도 안경곰아 과로 두 가지로 나뉘게 되는데 안경곰아과에 속한 안경곰이 있다.
곰아과가 우리가 알고 있는 곰과인데 그 계통을 보면 느림보 곰, 말레이곰, 아시아 흑곰, 아메리카흑곰, 큰 곰이 북극곰과 같은 곰아과에 속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