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늑대

by BoBook 2021. 10. 7.
반응형

늑대

1. <늑대> 소개

  • 갯과에 속한 포유류이며 야생동물이다
  • 활동하는 시간은 밤 시간이며 주로 숲이나 습지에 생활한다
  • 식성은 육식성이며 주로 사슴과 양 그리고 쥐 등을 사냥한다
  • 성체로 성장한 크기는 1~1.6m로 다양하다
  • 무게는 18~80kg로 성장 폭이 큰 편이다
  • 수명은 평균적으로 14-16년 산다
  • 야생 개과 동물 중 상징적이며 가장 큰 동물이다
  • 늑대는 길쭉하고 날쌘 체형이고 몸은 좁은 편이다
  • 체형이 다리가 길어 덩치에 비해 키가 큰 편이고 몸길이도 긴 편이다
  • 늑대는 수명이 짧은 대신에 번식력이 강하여 새끼 늑대는 태어난 후 4개월 안에 30배 정도 성장한다

2. 늑대의 특징

늑대는 주로 무리 생활을 하며 2-8마리 정도 한 무리를 이룬다.

발정기 때에 여름에 짝을 찾아 무리를 떠나 겨울에 짝과 함께 무리에 다시 합류한다.

늑대의 무리 생활은 한 마리의 수컷이 무리 전체를 통솔하며 권력을 행사한다.

대장 늑대는 권력을 돋보이기 위해 서열이 낮은 늑대를 입으로 물기도 한다.

늑대는 수명이 짧은 대신 번식력이 강해 세대교체가 빠르게 이뤄지는데 새끼를 낳아 기르는 곳은 바위틈이나 속이 빈 나무 혹은 땅굴을 이용해 새끼를 기른다.

늑대의 사냥방법은 후각이 매우 발달하여 2.4km 떨어진 위치에 사냥감도 찾아낼 정도로 뛰어나다.

평소 걸음걸이 속도는 8km/h 정도이지만 사냥감을 쫓거나 천적에 쫓겨 도망 나설 때엔 70km/h 속력을 낼 정도로 빠르다.

늑대는 개과에서 상위 종으로 분류되는데 체력도 좋은 편이라 사냥할 때에 20분 이상 지속적으로 끈질기게 사냥감을 추적하여 성공해낸다.

늑대의 역사를 살펴보면 선사시대로 넘어간다.

선사시대에 늑대는 사슴이나 들소 같은 동물들을 무리 지어  사냥하며 생존해왔다.

그 시대 인간들 또한 늑대와 활동영역이 겹쳐 문명이 발달하기 이전엔 늑대와 경쟁관계로 지내왔다.

선사시대에 인간들이 개와 말을 가축화시켜 사냥을 나섬에 그때에 늑대의 영역이 겹쳐 충돌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결국 인간이 문명을 발전하며 늑대 영역을 조금씩 빼앗음으로 늑대는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는 깊은 산 속이나 오지로 밀려나게 되었다.

한국에도 늑대는 존재했었다.

조선시대만 해도 호랑이 때문에 늑대는 한국에 보이지 않았는데 17세기 이후에 호랑이의 개체수가 줄어듬으로 늑대의 개체수 증가가 이뤄진다.

실제 기록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에 야생동물 포획시기에 호랑이, 표범, 반달곰 등은 몇 백 마리 단위지만 늑대는 천 마리 이상 포획된 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근현대화를 거치며 크고 작은 동물들과 함께 씨가 말라버렸고 남아있는 개체 들고 완전히 한국에선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0년 문경에서 마지막으로 늑대를 발견한 뒤로 보이지 않게 된다.

늑대의 재미난 특징 중 하나가 개와 공통점이 많으면서 다르다는 점이다.

늑대와 개는 겉모습으로는 차이가 크지 않고 유전적으로 또한 그 차이가 거의 없다.

유전자 일치도는 99.96%인데 이 정도는 사람들 중 인종이 다른 사람들 유전자 차이와 더욱 근사치 값을 갖는다.

유전자는 이렇게 비슷하나 외모와 행동이 눈에 띄게 다른 이유는 다른 종으로 분류되기도 전에 인간의 욕심에 의해 과도하게 교배시켰던 점과 품종개량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같은 종으로 분류될 정도의 유전자의 동일성을 보이는데 외모와 행동은 완전히 다른 종으로 비춰 보임에 인위적으로 개량시킨 가축 외에는 이러한 점은 발생하기 어렵다.

현재로선 늑대와 개 유전학적 차이가 벌어지면서 종분화 과정이긴 하지만 아직은 먼 얘기라는 것이다.

늑대의 천적을 소개해드리면 늑대에게 최악의 천적은 호랑이이다.

호랑이와 늑대가 같은 산에 살아갈 때에 호랑이 개체수가 줄어들면 늑대의 개체수가 증가하는데 이는 호랑이의 존재가 늑대 개체수를 조절하고 억제력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그리고 불곰 또한 늑대의 천적 중 하나이다.

불곰은 늑대 무리가 사냥한 먹이를 가로채는 행위가 주로 보이는데 불곰 성체 하나로 늑대 무리 전체를 압도할 수 있기에 대놓고 늑대 무리를 쫓아다니며 사냥한 먹이를 강탈하는 모습도 종종 보이는 편이다.

 

3. 늑대와 관련된 이야기

늑대는 주로 남성을 비유한 말들이 많다. 그래서 늑대를 소재삼아 만든 작품들이 여러 있는데, 그중 몇 가지를 소개해보려 한다.

대표적으로 송중기 주연의 늑대소년, 이솝우화 양치기 소년, 정글북, 이누야샤 등 늑대를 모티브 삼아 의인화시킨 작품들이 대다수이다.

 

댓글